토욜 오후 3시경의 모습입니다. 이 구간은 양사의 표출이 거의 같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.
물론, 아래부분 바다약국을 중심으로 한 양 갈래 도로 CTT 색상은 비록 한단계씩의 차이는 있으나
양사의 평균값은 같다고 보여집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9/18_32_36_32_blog233737_attach_1_151.gif?original)
코스트코 우측도로의 소통상황을 놓고 볼때는 YTN의 손을 들어줄 수 밖에 없습니다.
자차 위치에서 우회전하여 코스트코 앞 도로로 나가려는 차량들이 2~3중으로 몰려들어
병모가지 현상을 5분이 멀다하고 연출하고 있으니까요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8/18_32_36_32_blog233737_attach_1_156.gif?original)
이 사진은 MBC 표출이 시간 경과에 따라 거리의 네온사인 꺼지듯이 점점 없어지는 사진입니다.
9시가 넘으니 CTT 장사 끝내려고 하는지 불이 많이 꺼지네요.
이건 왜 이런건지 궁금합니다. MBC 문젠지, 아님 파인측의 문젠지..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7/18_32_36_32_blog233737_attach_1_131.gif?original)
이 지점에서는 일단 왼쪽 화면을 보면 YTN의 표출이 도로 한 구간이 더 많습니다.
그러나, 자차위치의 아래 구간과 동쪽 구간의 CTT를 보면 MBC 쪽이 더 정확합니다.
MBC의 아래구간은 지체가 맞으며, 동쪽 구간 노랑색쪽이 더 정확합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8/18_32_36_32_blog233737_attach_1_157.gif?original)
자차 구간과 동쪽 구간을 보면 이번에는 YTN 쪽이 더 정확하네요.
단, 현재 신호대기 중인 관계로, 일시적인 표출일 수는 있습니다.
하지만, 일반 도로보다는 이런 교차로에서 보다 더 CTT 표출을 직감할 수 있습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9/18_32_36_32_blog233737_attach_1_152.gif?original)
이 사진은 YTN과 MBC의 비교라기 보다는 캡쳐 당시 MBC의 표출 상태를 보여주고자 하는 것입니다.
사진이 총 4장인데요, 처음 1장은 YTN, 나머지 3장은 MBC입니다.
MBC는 CTT 표출이 왠지 모르게 1분마다 한단계씩 3단계에 걸쳐 나타나는군요.
정식 버전에서도 이러면 낭패입니다. YTN은 그렇지 않았습니다.
![사용자 삽입 이미지](https://t1.daumcdn.net/tistoryfile/fs7/18_32_36_32_blog233737_attach_1_132.gif?original)
5차 사용기에 대한 평가는 MBC가 YTN에 비해 약 70% 정도 점수를 얻었습니다.
다른 지역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입장이 또 다르시겠지만, 주로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저로서는
말로만 듣던 MBC에 대한 기대감은 그닥 충족되지 않았습니다.
앞으로 남은 며칠, 마지막 사용기에 혹 반전이 있을 수 있을까요?
'▶ Naviga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타 ] 집회관련 도로가 엉망이었습니다. (0) | 2008.05.30 |
---|---|
5/28 업글 후 마크가 안나타납니다. (0) | 2008.05.29 |
IQ를 일반메모리카드처럼쓰기 => 실패! (0) | 2008.05.29 |
업글 후 집까지 안내됩니다 (0) | 2008.05.28 |
GPS 수신 후 이상증상이 또... (0) | 2008.05.26 |
[MBC_TPEG] 4차 사용기 의견입니다. (0) | 2008.05.26 |
서울역 뒷편 유턴금지입니다. (0) | 2008.05.26 |
서울역 뒷편 차선정보 넣어주세요. (0) | 2008.05.26 |
댓글